청년도약계좌 vs 청년내일저축계좌, 뭐가 다를까? 조건부터 신청방법까지 완벽 비교 (2025년)

1. 청년도약계좌란?
• 대상: 만 19세~34세 청년 중 연소득 7500만 원 이하 (근로자·사업자 포함)
• 정부 지원: 본인이 매달 40만~70만 원 저축하면, 정부가 일정 금액을 추가 매칭
• 가입 기간: 최대 5년
• 수령 가능액: 최대 5000만 원 이상 (이자 포함)
신청방법:
1. 모집공고 확인: 매년 상반기, 국세청 홈택스 또는 금융위원회 홈페이지에서 공고
2. 자격 확인: 국세청 또는 은행을 통해 본인 소득·나이 기준 충족 여부 확인
3. 가입 신청: KB국민, 신한, 우리, 하나, 농협 등 시중 은행 앱 또는 영업점 방문
4. 저축 개시: 월 저축 금액 선택 후 자동이체 등록
2. 청년내일저축계좌란?
• 대상: 만 19세~34세 청년 중 기준 중위소득 100% 이하
(2025년 1인 기준 월 약 210만 원 이하)
• 정부 지원: 본인이 월 10만 원 저축 시, 정부가 월 30만 원씩 3년간 지원
• 가입 기간: 최대 3년
• 수령 가능액: 총 1440만 원 + 이자
신청방법:
1. 신청기간 확인: 보건복지부 또는 복지로(www.bokjiro.go.kr) 공고 참고
2. 온라인 신청: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신청서 작성 및 제출
3. 서류 제출: 주민센터 방문 후 소득·재산 관련 증빙 서류 제출
4. 자격 심사: 자산 기준 및 근로활동 여부 확인 후 가입 확정
5. 저축 시작: 매달 10만 원 자동이체

3. 청년도약계좌 vs 청년내일저축계좌 비교표

4. 어떤 걸 선택해야 할까?
• 소득이 안정적이고 여유가 있다면 → 청년도약계좌
• 소득이 낮고 단기 자금이 필요하다면 → 청년내일저축계좌
• 단, 두 계좌 중복가입 불가, 반드시 하나만 선택 가능!
5. 체크리스트
• 나이 요건 충족 (만 19~34세)
• 소득 요건 충족 여부 확인
• 본인 저축 여력 점검 (매달 납입 가능 금액)
• 신청 일정 놓치지 않기!
• 해지 시 불이익 조건도 체크
정부가 함께 저축해주는 제도는 흔치 않아요.
단기간이든 장기든, 내 상황에 맞게 똑똑하게 선택하면
3년~5년 후엔 지금보다 훨씬 여유로운 내 모습이 기다리고 있을 거예요.
더 궁금한 게 있다면 댓글로 남겨줘요!
좋아요와 공유는 큰 힘이 됩니다.
'서울일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실직이나 생계 위기 시 정부가 도와준다고? 긴급복지지원제도 총정리 (2025년 최신판) (1) | 2025.04.24 |
---|---|
서울 전시추천 - 이상원 Restopia 4.3-4.27 (0) | 2025.04.23 |
2025년 화랑미술제 ViP 초대전 다녀온후기 (0) | 2025.04.22 |
2025년 대한민국 벚꽃축제 일정 (날짜순 정리) & 방문 팁 (0) | 2025.03.25 |
일산 카페 - 소금빵이 맛있는 시카사 (2) | 2024.04.04 |